육군사관학교 (일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사관학교 (일본)는 1868년 교토에 병학교로 설립되어 1874년 육군사관학교로 개칭된 일본 제국 육군의 장교 양성 기관이다. 프랑스식 교육 제도를 시작으로 프로이센식 제도를 거쳐 예과·본과 제도로 운영되었으며, 1937년 사가미하라와 아사카로 분할 이전되었다. 1945년 일본의 항복과 함께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방위대학교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인 관련자로는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된 인물들이 있으며, 육군사관학교 본부 건물 등은 이치가야 기념관 등으로 보존되어 역사를 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군사관학교 (일본) - 육군 도야마 학교
육군 도야마 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교육 기관으로, 초급 장교 및 하사관에게 전투 기술, 사격술, 검술 등을 교육하고 연구하는 역할을 수행하다 태평양 전쟁 이후 폐교되었으며 현재 그 부지에는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가 위치한다. - 일본군의 교육기관 - 육군예과사관학교
육군예과사관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사관 후보생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1937년 독립 후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운영되다 종전 후 폐지되었으며, 현재 그 부지는 육상자위대 아사카 주둔지로 사용되고 있다. - 일본군의 교육기관 - 육군항공사관학교
육군항공사관학교는 1937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분교로 설립되어 항공병과 장교를 양성하다 1945년 일본 패전으로 폐교되었으며, 폐교 후 부지는 현재 일본 항공자위대 이루마 공군기지로 사용되고 있다. - 도쿄도의 학교 - 육군 도야마 학교
육군 도야마 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교육 기관으로, 초급 장교 및 하사관에게 전투 기술, 사격술, 검술 등을 교육하고 연구하는 역할을 수행하다 태평양 전쟁 이후 폐교되었으며 현재 그 부지에는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가 위치한다. - 도쿄도의 학교 - 도꾜조선중고급학교
도꾜조선중고급학교는 1946년 도쿄에 설립된 재일 조선인 중등 교육기관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민족 교육을 실시하며, 중급부와 고급 과정으로 나뉘고, 한국어 사용 장려 및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하며, 교표는 삼천리 금수강산과 삼천만을 상징하는 세 개의 펜으로 이루어져 있다.
육군사관학교 (일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육군사관학교 |
원래 명칭 | 陸軍士官学校 |
로마자 표기 | Rikugun Shikan Gakkō |
종류 | 사관학교 |
건설 | 일본 제국 육군 |
건설자 | 일본 제국 육군 |
재질 | 콘크리트 |
사용 | 일본 제국 육군(1868~1945) |
소유자 | 주일 미군 |
공공 개방 | 아니요 |
위치 | |
위치 | 도쿄부 이치가야 |
사진 | |
![]() |
2. 역사
1868년 교토에 '헤이가쿠코'(兵學寮)로 설립된 장교 양성 학교는 1874년 도쿄 이치가야로 이전하면서 제국 일본 육군사관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1898년 이후 육군교육행정부의 감독을 받게 되었다.
1937년 사관학교는 분할되었고, 고급 과정은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로, 예과 과정은 사이타마현 아사카로 이전했다. 1938년에는 군용 항공 장교를 위한 별도의 학교가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학교의 명성이 매우 높았고, 교수진은 도쿄 제국대학 출신이 많았다. 또한 많은 중국 학생들을 받아들였고, 그중 많은 졸업생들이 후에 중화민국 국군에서 고위직을 역임했다.[4]
1945년 일본의 항복 후 미 육군 제1기병사단의 대대가 사관학교를 장악했다. 사관학교는 1945년 말 제국 일본 육군과 함께 폐지되었고, 사가미하라 부지는 현재 미국 육군 기지인 캠프 자마의 일부이다. 현재 일본 육상자위대에 해당하는 기관은 방위대학교이다.
일본 제국의 '''육군사관학교'''(육사)는 제국 육군의 현역 병과 장교가 될 사람들을 양성하는 학교였다. '현역'은 직종의 한 종류이며, 원칙적으로 정년까지 육군에 재직하는 직업 군인을 의미한다. '병과'는 보병, 기병과 같은 '병과 구분'과 동시에 특정 병과 구분의 총칭이다. 1940년에는 헌병을 제외한 병과 구분이 폐지되어 보병이나 항공병이라 칭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병과'라고 칭하게 되었다. 헌병 장교는 다른 병과에서 전과자를 육군헌병학교에서 교육한 후 보충하는 방식이었고, 육사에서는 양성하지 않았다. '장교'는 육군에서 직종이나 병과에 관계없이 대장부터 소위까지의 군인을 총칭한다.
육사는 제국 육군의 핵심이자 미래의 고급 간부가 될 '''생도'''를 주로 교육했다. 그 외에도 현역 병과 장교가 될 선발된 병과의 준사관, 하사관, 예비역 장교를 '''학생'''으로, 외국군 장교 후보자를 '''유학생'''으로 받아들여 장교 교육을 담당했다.
제국 육군 창설부터 해체될 때까지 조직에는 여러 차례 변화가 있었지만, 교육 단계는 본과와 예과의 이중 구조였으며, 교육 내용도 명확하게 달랐다. 1937년에는 인원 증가 등을 이유로 예과는 육군예과사관학교로 분리 독립되었다. 같은 시기에, 현역 항공병과 장교(육군항공부대를 위한 항공 요원)의 교육에 특화된 본과로서 육군항공사관학교(초기에는 "육군사관학교 분교")도 분리 독립했다. 이들은 각각 "육사", "예사", "항사" 등으로 약칭되었다. "육군예과사관학교" 독립 후에는 본과인 "육군사관학교"만을 가리켜 육사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예사 및 항사도 "육군사관학교"이다.
육사와 관련된 학교는 다음과 같다.
- 육군유년학교 : 장교 후보생, 즉 장래 육사 예과에 입교하여 학생이 될 사람을 어린 시절부터 "순수 양성"하는 구제중학교에 상당하는 양성 기관이다.
- 육군대학교 : 주로 참모를 양성하는 고등 교육 기관이며, 선발된 육사 졸업생 중 중위·소위가 입교했다.
- 육군경리학교 : 주로 경리부의 주계 장교(각 부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며, 현역 주계 장교를 양성하는 과정은 현역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육사와 동격이었다.
-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 만주국군의 군관학교(사관학교)이며, 일정 수의 일본인·일본계 학생이 예사에서 진학하는 외에, 만주인·조선인·몽골인으로 구성된 현지 만계 학생 중 우수자는 육사에 유학했다.
- 육군예비사관학교 : 1938년 이후, 갑종 간부 후보생 출신자를 학생으로 하여, 예비역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다.
학교는 오랫동안 본과·예과 모두 도쿄의 이치가야다이에 있었지만, 1937년에 본과(육사)는 가나가와현 자마로(항사는 사이타마현 이루마에 설치), 예과(예사)는 1941년에 사이타마현 아사카로 각각 이전하였다. 육사 자체의 통칭이기도 했던 "이치가야다이"라는 이름을 본떠, 자마 이전 후의 육사에는 "소부다이", 이루마에 신설된 항사에는 "수부다이", 아사카 이전 후의 예사에는 "진부다이"라는 이름이 당시 대원수였던 쇼와 천황으로부터 각각 내려졌다.
육사·예사가 떠난 이치가야다이에는 육군성, 참모본부, 교육총감부, 육군항공총감부 등의 "성부"가 미야케자카에서 이전하여 일본 제국 육군의 중추가 되었다. 이치가야다이는 패전 후 미군에 의한 접수를 거쳐, 육상자위대 이치가야 주둔지·해상자위대 이치가야 지역·항공자위대 이치가야 기지가 되었다. 2000년에는 방위청(현 방위성) 본청이 히노마치 지역에서 이전하여, 현재의 이치가야다이는 방위성·통합막료감부·육상막료감부·해상막료감부·항공막료감부 등이 위치하는 일본 방위의 중추가 되고 있다. 소부다이(자마의 육사)는 미국 육군캠프 자마의 일부 및 육상자위대 자마 주둔지, 신부다이(아사카의 예사)는 미 육군 캠프 드레이크를 거쳐 육상자위대 아사카 주둔지, 수부다이(이루마의 항사)는 미국 공군 존슨 기지를 거쳐 항공자위대 이루마 기지이다.

방위성 이치가야 지역에는 1937년 6월, 육군사관학교(육사)가 자마로 이전하기 직전에 건설된 육군사관학교 본부가 부분적으로 이전된 후 현재까지 남아 있다. 내부에는 육군사관학교 시대의 대강당 등이 포함된 이치가야 기념관으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캠프 자마에는 육군사관학교(소부다이) 시대의 대강당 등이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개조를 거쳐 주일 미군이 현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자마 시대의 육군사관학교(소부다이)에 있던 황족 숙소가 1978년에 육상자위대에 의해 캠프 자마에서 예비사관학교(진부다이)가 있던 아사카 주둔지로 이축되어 예비사관학교의 자료를 전시하는 진부다이 기념관이 되었다. 해당 기념관은 인접한 육상자위대 홍보센터 방문객들에게 내부가 공개되고 있다.
이루마 기지에는 항공사관학교(수부다이) 시대의 학교 본부가 수부다이 기념관으로 있었지만, 노후화로 인해 2005년에 폐관되어 해체되었다. 그러나 2012년에 항공사관학교 본부 시대의 외관을 재현한 수부다이 기념관(수부다이 교육강당·항공역사자료관 수부다이 기념관)이 개관하여 육군항공부대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 공군 장병용 교육시설이 되었다.
2. 1. 기원
1868년(메이지 원년) 교토에 설치된 병학교(兵學校, 훗날 병학소(兵學所)로 개칭)가 기원이다. 1869년(메이지 2년) 9월 오무라 마스지로의 구상에 따라 군사 시설을 오사카에 집중시키기 위해 오사카로 이전하여 병학료(兵學寮)가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는 메이지 유신 직후의 혼란기였기에 자료에 다소 혼란이 있다. 오사카성 천수각(오사카시청)은 "1869년 12월, 오사카성 내에 오사카 병학료가 개교한다."라고 기록하여 3개월 정도 차이가 나는 기록도 있다.[20][21] 이는 1869년 7월 경부터 병부성 오사카 출장소 역청, 조병사, 군사 병원 등의 관련 시설이 오사카성 본마루와 니노마루(일부 훈련소는 오사카성 바로 근처)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등한 주변 시설과 혼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구체적인 날짜와 세부 사항에 혼란은 있지만, 메이지 초기부터 오무라의 구상에 따라 오사카성에 일본 육군의 최초 시설이 집결했다. 이후 1871년(메이지 4년), 오사카 병학료는 '''육군 병학료'''와 '''해군 병학료'''로 분리되고, 12월 7일 도쿄 와다쿠라몬 밖으로 이전한다. 이듬해 1872년(메이지 5년) 12월 28일, 육군 병학료 안에 "사관학교", "유년학교", "교도단"의 세 학교를 설치했다.
2. 2. 사관생도 제도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 제도)
1874년(메이지 7년) 11월 2일 육군사관학교 조례[22]에 따라, 12월 도쿄부 이치가야(市ヶ谷台)에 '''육군사관학교'''가 개교하였고, 1875년(메이지 8년) 2월에 제1기 '''사관생도'''가 입교하였다. 이른바 구 육군사관학교(舊陸軍士官學校)로 불린다. 교육제도는 프랑스식을 따랐으며 프랑스 육군에서 초빙된 교관이 지도하였다.
수학 기간은 병과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보병과 기병은 처음에는 2년이었지만 1876년(메이지 9년)에 3년으로 변경되었다. 포병과 공병은 처음에는 3년이었지만 1876년(메이지 9년)에는 4년이 되었고, 1881년(메이지 14년)에는 5년으로 연장되었다. 포병과 공병은 재학 기간이 길었고, 소위로 임관한 이후에도 학교에 남아 있었으며, 생도소위로 불렀다. 사관생도 제도는 제11기생까지 계속되다가 폐지되었다(사관생도 졸업생 1285명[23]).
학습 내용은 1학년에서 기하학·대수학·역학·물리학·화학·지구과학을, 2학년은 군정학·군사학·축성학·철도통신학 등을 배웠다. 교육 제도의 특징은 포병과 공병의 교육 기간이 길었다는 점이다. 게다가 훗날 사관후보생 제도(독일식 육군사관학교 제도)와는 다르게 프랑스식 유년학교 출신자를 병사나 하사관의 경험 없이 군대 내의 엘리트 장교로 양성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장교 적격자가 적었던 근대 프랑스에서는 유효하였다.
근대 프랑스에서는 독일과는 다르게 궁정 관료, 행정·사법 관료, 지주 등의 귀족 자제로부터 장교를 배출하는 장교 임용 제도였고,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중에 소멸하였다. 프랑스 혁명군 및 나폴레옹 군에서 장교는 평등하게 병사와 하사관의 호선에 의해서 선출되어 군단을 관할하는 원수에 의해서 채용되어 임용되었다. 그러나 호선 장교는 과거 전문적인 사관학교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기병 원수 미셸 네(Michel Ney)와 같이 각 병과 간의 전술 융통성을 결여하거나 왕성한 전의로 공세만을 고집하여 철퇴 시기를 잘못 판단하는 등 전략적 시야가 좁은 인물도 있었다.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중에 귀족 출신 장교가 소멸한 후, 근대 프랑스에서는 유복한 관료나 부르주아지로부터 고학력 자제를 모집하여 시험 제도를 통해 유년학교, 사관학교에 입학시켜 사관학교 졸업 후에 장교로 임용하였다. 그들의 교양 있고 유복한 부모를 회유하기 위해 병사나 하사관으로부터 분리된 완전한 엘리트로서의 장교 교육 제도가 성립하였다.
일본의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에는 프랑스식 유년학교 출신자뿐만 아니라 보신 전쟁에 참전하고 병사에서 진급한 하사관이나,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와 같이 하사관 양성 기관인 교도단 출신의 하사관 등도 입학하였다.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의 특색 중 하나는 이와 같은 하사관을 장교로 임용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소위가 되어 육대벌이 출현하기 이전 조슈벌이나 사쓰마벌 우에하라 유사쿠(上原勇作) 파를 중심으로 한 일본 육군 장교단의 주축이 되었다.
한편, 프랑스식 유년학교로부터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한 젊은층이 있었다. 이들의 상당수는 메이지 유신 이후에 몰락한 빈곤한 구 번사와 한학이나 수리 등의 초등교육을 거친 고학력 자제였다. 훗날 독일식 육군사관학교 제도와는 다르게 이들은 평상시 중대 내무반으로 파견되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병사나 하사관의 경험이 없었다. 때문에 프랑스식 유년학교 출신으로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청년 소위는 장교가 되어도 중도에 퇴직하는 경우가 상당수 나왔다.
또한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 입학자에는 구제중학교(舊制中學校) 출신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1886년(메이지 19년) 4월에 칙령 제15호 《중학교령》에 의해서 구제 심상중학교가 고등중학교(훗날 구제 고교)와 함께 설치되었다. 즉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는 1886년(메이지 19년) 칙령 제15호 《중학교령》이 공포되기 이전의 제도였기 때문이다. 구 제2기의 이구치 세이고(井口省吾)나 구 제11기의 나라 다케지(奈良武次)가 구제 중학교 졸업이 아니고 사숙이나 사립학교 졸업 후에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한 것은 구제 중학교 제도가 아직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일식 《육군사관학교관제》의 공포는 1887년(메이지 20년)에 칙령 제25호에 의해서였으며, 《제국대학령》, 《중학교령》의 공포 이후에 있었다.
1877년 세이난 전쟁 당시에는 입교하여 아직 1 ~ 2년 정도밖에 안 된 제1기생과 제2기생이 견습생으로 동원되었고, 교장 소가 스케노리(曾我祐準)와 육군경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県有朋)까지도 출병하였다. 이 영향으로 같은 해 2월에 입학할 예정이던 제3기생은 세이난 전쟁으로 같은 해 5월까지 대기 상태에 있었다. 아키야마 요시후루(秋山好古)도 그 중 한 명이다.
2. 3. 사관후보생 제도 (프로이센/독일식)
1887년(메이지 20년) 프로이센식 사관후보생 제도가 채택되었다.[46] 사관후보생은 육군유년학교 및 구제 중학교 출신자 중에서 선발되었으며, 육군의 지정된 연대나 대대에서 하사관병으로 부대 근무를 거친 후 사관학교에 입교하였다. 이는 해군의 해군병학교와 다른 점이었다.중학교 출신 사관후보생은 12월에 일등병으로 입대하여 이듬해 6월에 상등병으로 진급하였다. 유년학교 출신 사관후보생은 중학교 출신자가 상등병이 되는 것과 동시에 상등병으로 입대하였다. 8월에는 오장(伍長)이 되었으며, 12월에는 군조(軍曹)가 되었다. 사관학교를 졸업하면 조장(曹長)으로 진급하여 견습사관이 되어 원래 부대로 복귀하였다. 이후 원래 부대 장교단의 추천을 받아 소위로 임관하였다.
1896년(메이지 29년) 5월 15일, 육군중앙유년학교 조례 및 육군지방유년학교 조례가 제정되어 유년학교 출신자와 중학교 출신자 간의 구별 의식이 강해졌다.
1909년(메이지 42년, 융희 3년) 7월 30일, 대한제국 칙령에 따라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폐지되었고, 대한제국 육군 무관 양성은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위탁되었다.[46]
2. 4. 사관학교 예과·본과 제도
1920년(다이쇼 9년) 기존의 육군중앙유년학교는 '''육군사관학교 예과'''가 되고, 기존의 육군사관학교는 '''육군사관학교 본과'''가 되었다.[24]육군사관학교 예과의 수업 기간은 4월 1일에 입교하여 2년 후 3월에 졸업하였다. 예과 재학 중에는 계급이 지정되지 않고, 졸업 시에 계급(상등병), 병과 및 원대가 지정되었다. 졸업 후 4월부터 반년간 부대 배속 근무(이 기간 동안 伍長으로 진급)를 거쳐, 준사관 계급을 받고 10월에 본과에 입교하였다. 본과의 수업 기간은 1년 10개월이며, 그 다음 해 7월에 졸업하여 수습사관(계급은 曹長)이 되었다.
새로운 제도의 육군사관학교 예과 출신자는 본과 37기 이후이다.
1923년(다이쇼 12년) 9월 1일에 발생한 관동대지진으로 육군사관학교도 피해를 보았으며, 이를 계기로 교사들은 스팀 난방을 갖춘 현대적인 철근콘크리트 건축으로 단계적으로 개축되었다.
2. 5. 사관학교·예과사관학교
1937년(쇼와 12년) 육군사관학교 본과는 육군사관학교로 개칭되었고, 육군사관학교 예과는 육군예과사관학교가 되었다. 육군사관학교는 가나가와현 자마로 이전하였고, 쇼와 천황으로부터 '''상무대(相武台)'''라는 이름을 받았다.[24] 같은 해 10월 1일에는 항공병과 장교 교육을 위한 육군사관학교 분교가 설치되었다.1938년(쇼와 13년) 12월, 분교는 육군항공사관학교로 독립하였고, 1941년(쇼와 16년)에 '''수무대(修武台)'''라는 이름이 주어졌다. 항공사관학교는 전문 교육을 위해 조기 입교를 시켰고, 원칙적으로 부대 근무를 하지 않았다.

1941년(쇼와 16년) 육군예과사관학교는 사이타마현 아사카로 이전하여 '''진무대(振武台)'''라는 이름을 받았다.
1945년(쇼와 20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육군사관학교는 폐지되었다.
3. 교육
1937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에서는 약 18,476명의 사관 후보생을 교육했다.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 지원자들은 도쿄, 오사카, 나고야, 히로시마, 센다이, 쿠마모토에 있는 3년 과정의 육군 예비학교(Rikugun Yonen Gakkō) 졸업생과 신체 및 교육 자격을 갖춘 다른 지원자들 중에서 엄격하게 선발되었다. Rikugun Yonen Gakkō는 주로 장교 자녀들과 전사한 군인들의 자녀들을 위한 학교였다. 일부 지원자는 25세 미만의 현역 군인이었고, 다른 지원자들은 시험을 통과한 16세에서 18세 사이의 일반 지원자들이었다.
훈련 과정에는 대학 수준의 일반 교육 과정, 전통적인 무술과 승마가 포함되었다. 사이타마현 아사카(朝霞)에서 2년간의 하급 과정을 마친 후, 사관 후보생들은 8개월 동안 보병연대에 배치되어 군 무기와 소대 지휘 능력에 익숙해진 후,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相模原)에서 1년 8개월간의 상급 과정을 이수했다. 졸업 후, 사관 후보생들은 상사(하지만 장교로 대우받음) 계급의 수습 장교가 되었고, 배속된 연대에서 4개월간의 수습 기간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소위로 정식 임관되었다.[1]
일본 제국의 '''육군사관학교'''(육사)는 제국 육군의 현역 병과 장교가 될 사람들을 양성하는 학교이다. 여기서 '현역'은 정년까지 육군에 재직하는 직업 군인을, '병과'는 보병, 기병 등 병과 구분을 의미한다. 1940년에는 헌병을 제외한 병과 구분이 폐지되어 보병이나 항공병이라 칭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병과'라고 칭하게 되었다.
육사는 제국 육군의 핵심 간부가 될 생도를 주로 교육했다. 그 외 현역 병과 장교가 될 준사관, 하사관, 예비역 장교, 외국군 장교 후보자들을 '학생'으로 받아들여 장교 교육을 했다.
1937년 개정 이후 예과 학생은 '학생', 본과 학생은 '사관후보생'이라 칭했다. 예비역 장교·준사관·하사관 출신 '학생'은 계급에 관계없이 교내에서 평등하게 대우받았다.
학생들은 학생대 아래 각 중대의 각 분대에 소속되었고(제1중대 제2분대 등), 장교인 중대장과 분대장이 이들을 이끌었다. 분대장은 전 육군에서 선발된 소령, 중위였으며, 학생들과 직접 교류하며 큰 영향을 미쳤다.[1] 예과에서는 우수한 2학년생을 '지도 학생'으로 임명하여 1학년생을 지도하게 했고,[2] '단속 학생' 제도를 통해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주번 근무를 담당했다.[3]
3. 1. 교육 강령
1932년(쇼와 7년) 개정된 『육군사관학교 교육강령』은 일본 육군 장교가 될 사람을 양성하기 위해 군대의 간부, 군인 정신 및 군기를 근원으로 하고, 일국의 원기 중추임을 강조하며,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교육할 것을 명시하였다.[9]# 존황애국(尊皇愛國)의 심정을 양성하는 것
# 군인 사상과 원기를 양성하는 것
# 건전한 신체를 양성하는 것
# 문화에 이바지하는 지식을 양성하는 것
3. 2. 교육 과정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는 1937년부터 1945년까지 약 18,476명의 사관 후보생을 교육했다. 지원자들은 도쿄, 오사카, 나고야, 히로시마, 센다이, 쿠마모토에 있는 3년 과정의 육군 예비학교(Rikugun Yonen Gakkō) 졸업생과 신체 및 교육 자격을 갖춘 지원자들 중에서 엄격하게 선발되었다. 육군 예비학교는 주로 장교 자녀들과 전사한 군인들의 자녀들을 위한 학교였다. 일부 지원자는 25세 미만의 현역 군인이었고, 다른 지원자들은 시험을 통과한 16세에서 18세 사이의 일반 지원자들이었다.훈련 과정에는 대학 수준의 일반 교육 과정, 전통적인 무술과 승마가 포함되었다. 사관 후보생들은 2년간의 하급 과정을 마친 후, 8개월 동안 보병연대에 배치되어 군 무기와 소대 지휘 능력에 익숙해졌다. 이후 1년 8개월간의 상급 과정을 이수했다. 졸업 후에는 상사(하지만 장교로 대우받음) 계급의 수습 장교가 되었고, 배속된 연대에서 4개월간의 수습 기간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소위로 정식 임관되었다.
일본 제국의 '''육군사관학교'''(육사)는 제국 육군의 현역 병과 장교가 될 사람들을 양성하는 학교였다. 여기서 「현역」은 정년까지 육군에 재직하는 직업 군인을, 「병과」는 보병, 기병과 같은 병과 구분을 의미한다. 1940년에는 헌병을 제외한 병과 구분이 폐지되어 보병이나 항공병이라 칭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병과」라고 칭하게 되었다.
육사는 제국 육군의 핵심이자 미래의 고급 간부가 될 생도를 주로 교육했다. 그 외 현역 병과 장교가 될 선발된 병과의 준사관・하사관・예비역 장교를 「학생」, 외국군 장교 후보자를 「유학생」으로 받아들여 장교 교육을 하는 기관이기도 했다.
1937년에는 인원 증가 등을 이유로 예과는 육군예과사관학교(예사)로, 현역 항공병과 장교 교육에 특화된 본과는 육군항공사관학교(항사)로 분리 독립했다. 육사, 예사, 항사 외에도 육군소년학교, 육군대학교, 육군경리학교,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육군예비사관학교 등 다양한 관련 학교들이 존재했다.
학생들은 학생대 아래 각 중대의 각 분대에 소속되어, 장교인 중대장과 분대장의 지도를 받았다. 예과에서는 지도 학생 제도와 단속 학생 제도를 통해 학생들의 자치와 상호 지도를 장려했다.
학교는 오랫동안 도쿄 이치가야다이에 있었지만, 1937년에 본과(육사)는 가나가와현 자마시로, 예과(예사)는 1941년에 사이타마현 아사카시로 각각 이전하였다. 육사 자체의 통칭이었던 "이치가야다이"라는 이름을 본떠, 자마 이전 후의 육사에는 "소부다이", 아사카 이전 후의 예사에는 "신부다이"라는 이름이 쇼와 천황으로부터 각각 내려졌다.
육사·예사가 떠난 이치가야다이에는 육군성, 참모본부, 교육총감부, 육군항공총감부 등의 "성부"가 이전하여 일본 제국 육군의 중추가 되었다. 패전 후에는 미군의 접수를 거쳐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 시설이 들어섰고, 2000년에는 방위청(현 방위성) 본청이 이전하여 현재 일본 방위의 중추가 되고 있다. 소부다이(자마의 육사)는 미 육군 캠프 자마의 일부 및 육상자위대 자마 주둔지, 신부다이(아사카의 예사)는 미 육군 캠프 드레이크를 거쳐 육상자위대 아사카 주둔지가 되었다.
1938년 이후, 갑종 간부 후보생 출신자를 학생으로 하여, 예비역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육군예비사관학교(예비사)가 여러 학교에 설치되었다.
1937년 개정 이후, 예과 학생은 “학생”, 본과 학생은 “사관후보생”이라 칭했다. 예비역 장교·준사관·하사관으로 구성된 “학생”은 원래 계급에 관계없이 교내에서는 평등하게 대우받았다.
방위성 이치가야 지역에는 1937년 6월, 육군사관학교가 자마로 이전하기 직전에 건설된 육군사관학교 본부가 부분적으로 이전된 후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이치가야 기념관으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4] 캠프 자마에는 육군사관학교(소부다이) 시대의 대강당 등이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주일미군이 현재 사용하고 있다. 자마 시대의 육군사관학교에 있던 황족 숙소는 1978년에 육상자위대에 의해 캠프 자마에서 예비사관학교(신부다이)가 있던 아사카 주둔지로 이축되어 신부다이 기념관이 되었다.[6]
3. 2. 1. 예과
예과에서는 구제고등학교에 준하는 일반 교육(보통학)을 중심으로 수학하였다. 수신, 국어 및 한문, 외국어(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중국어 중 하나 선택), 역사, 수학(삼각법, 기하 및 미적분, 대수), 물리, 화학, 지리, 심리 및 논리, 법제 및 경제, 도화 등을 학습하였다.[10] 교육 시간 수는 외국어가 총 402시간, 수학이 총 318시간, 국어 및 한문이 총 269시간, 물리가 167시간, 화학이 100시간 등이었다. 이들은 예과의 “교수부”의 주로 문관 교관(육군 교수)에 의해 교육되었다.군인으로서의 교육은 “훈육부”의 주로 무관 교관에 의해 교련, 진중근무, 사격, 검술, 체조, 유도, 마술, 훈화, 학과, 내무지도 및 검사 과정이 있었다. 이들 외에도 각종 견학과 야영연습, 유영 연습도 실시되었다.
예과는 자위대의 방위대학교에 상당하는, 유사한 기관이다.
3. 2. 2. 본과
본과에서는 군사학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졌다.[11] 교육 과목은 전술학, 전사, 군제학, 병기학, 사격학, 항공학, 축성학, 교통학, 측도학, 마학, 위생학, 교육학(군대 교육·일반 교육), 외국어, 교내 교련, 교외 교련, 진중 근무, 사격, 검술·체조·마술, 전령범·서비스 제요 등이었다.[11] 외국어는 예과에서 일반 문서 독해, 일상 회화·작문 수준까지 교육하고, 본과에서는 주로 군사 관련 문서 독해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11] 이 외에도 현지 전술, 측도 연습, 야영 연습, 각종 견학 등이 실시되었다.[11]본과는 자위대의 육상자위대 간부후보생학교와 유사한 기관이다.
3. 3. 입학
1920년 육군사관학교가 예과·본과 제도가 된 해의 『육군사관학교령』에는 “예과생은 육군소년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육군장교가 되기를 지원하여 모집시험에 합격한 자로 충원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12] “모집시험에 합격한 자”는 대략 구제중학교 4년 수업 “정도”의 “학력”을 “가진” 자를 상정하고 있으며, 수업·졸업 등의 학력은 필수가 아니다. 육소 졸업자는 무시험으로 육사 예과에 입교할 수 있다. 육사 예과(예사) 입교 시 나이는 최연소 16세부터였다. 징집되어 일본 제국 육군에 복무 중인 현역 하사관 및 병이라도 육군장교가 되기를 지원하여 육사 예과(예사)의 모집시험에 응시하여 생도가 될 수 있었다.육사의 위치는 구제고등학교, 대학 예과, 구제전문학교 등에 상당했다.
다른 교육기관과 달리 졸업 후 20세가 조금 넘어 고등관이 될 수 있는 육사는 매력적이어서 전국의 구제중학교 수재들을 모았다. 제1고등학교·제3고등학교·'''육군사관학교'''·해군병학교의 난관 4개교[18]는 「일고삼고'''육사'''해병」이라고 불렸다. 자금난 등으로 구제고등학교나 대학 예과 등의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없거나 구제중학교를 중퇴해야 하는 가정의 자녀에게는 수업료 없이 무상으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육사가 동경의 대상이었다. 중일전쟁 이후 육사·해병 모두 채용 인원을 늘려 상대적으로 입교 난이도가 낮아졌다.
4. 문화
일본 제국의 육군사관학교(약칭 '육사')는 제국 육군의 현역 병과 장교가 될 인재를 양성하는 학교였다. 이곳에서는 제국 육군의 핵심이자 미래의 고급 간부가 될 '생도'를 비롯해, 현역 병과 장교로 선발된 준사관, 하사관, 예비역 장교들을 '학생'으로, 외국군 장교 후보생들을 '유학생'으로 받아들여 장교 교육을 실시했다.
육군사관학교는 오랜 기간 도쿄의 이치가야대에 본과와 예과를 두고 있었으나, 1937년에 본과는 가나가와현 자마시로 이전하고, 쇼와 천황으로부터 '소부다이'라는 명칭을 하사받았다. 예과는 1941년에 사이타마현 아사카시로 이전하여 '신부다이'라는 명칭을 받았다. 이 외에도 육군항공사관학교는 '슈부다이'라는 명칭을 받는 등, 육군사관학교와 관련된 시설들은 각각 고유한 명칭을 가지고 있었다.
육군사관학교와 예비사관학교가 떠난 이치가야다이에는 육군성, 참모본부 등 일본 제국 육군의 중추 기관들이 이전해 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는 미군에 접수되었다가 육상자위대 이치가야 주둔지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2000년에는 방위성 본청이 이전하여 현재는 일본 방위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소부다이(자마의 육사)는 미 육군캠프 자마의 일부 및 육상자위대 자마 주둔지로, 신부다이(아사카의 예사)는 미 육군 캠프 드레이크를 거쳐 육상자위대 아사카 주둔지로, 슈부다이(이루마의 항사)는 미 공군 존슨 기지를 거쳐 항공자위대 이루마 기지로 사용되고 있다.
방위성 이치가야 지역에는 1937년 육군사관학교가 자마로 이전하기 직전에 건설된 육군사관학교 본부 건물이 부분적으로 이전되어 현재까지 남아 있다. 이 건물은 이치가야 기념관으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4] 캠프 자마에도 육군사관학교 시절의 대강당 등이 남아 주일 미국군이 사용하고 있으며, 아사카 주둔지에는 황족 숙소가 이축되어 신부다이 기념관으로 사용되고 있다.[6][7] 이루마 기지에는 슈부다이 기념관이 있었으나 노후화로 해체되었고, 2012년에 새로운 슈부다이 기념관이 개관하여 육군항공부대 자료를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8]
이처럼 육상자위대와 항공자위대가 운용하는 유적과 기념관들은 육군사관학교, 예비사관학교, 항공사관학교 관련 자료를 보존하고 전시하며, 일본 제국 육군 사관학교의 역사를 전하고 있다.
1874년 12월, 이치가야대에 프랑스 육군식 교육 제도를 도입한 육군사관학교가 개교했다. 초기에는 보병, 기병, 포병, 공병 등 병과에 따라 교육 기간이 달랐으며, 프랑스식 소년학교 출신자뿐만 아니라 보신 전쟁 경험자나 교도단 출신 하사관 등도 입교하여 장교로 양성되었다.
1887년에는 독일(프로이센)식 사관후보생 제도가 도입되었다. 사관후보생은 육군소년학교 및 구제중학교 출신자로 구성되었으며, 지정된 연대나 대대에서 하사관병으로 근무한 후 사관학교에 입교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해군병학교와는 다른 점이었다.
1920년에는 육군중앙소년학교 본과가 육군사관학교 예과로, 기존의 육군사관학교는 육군사관학교 본과로 개편되었다. 1937년에는 육군사관학교 본과가 육군사관학교로 개칭되고, 육군사관학교 예과는 육군예과사관학교가 되었다. 같은 해 육군사관학교는 자마로 이전하고 사무대라는 명칭을, 육군항공사관학교는 슈무대라는 명칭을 받았다. 1941년에는 예과가 아사카로 이전하여 신무대라는 명칭을 받았다.
1945년 육군사관학교가 폐교될 때까지, 재학 중이던 생도들에게는 특별 조치가 취해졌다. 제59기생에게는 졸업 자격이 주어졌고, 제60기생은 문부성 소관 학교로 전입할 수 있게 되었다. 육사 전체로 보면 예과 재학 중 종전을 맞이한 제61기생이 마지막이었다.
육군사관학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은어가 사용되었다.[40]
- "오레(俺)" - 1인칭[40]
- "키사마(貴様)" - 2인칭[40]
- "D코로" - 육군소년학교 출신자를 가리키는 경멸적인 표현[41].
- "P코로" - 중학교 출신자를 가리키는 경멸적인 표현[41].
- "애기" - 교내 미남자 또는 남색 문화에서 상급생이나 구대장의 총애를 받는 사람[40].
- "하수구" - 후보생·학생 또는 사관학교를 가리키는 말[40].
- "강당" - 교실[40].
- "극락 언덕"·"지옥 언덕" - 이치가야대 정문 안의 언덕[40].
- "콘파" - 동기생·상하급생 간의 모임, 친목회[40].
4. 1. 복장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육사) 예과생 및 본과생(사관후보생)은 하사관병과 같은 군복을 착용했지만, 깃 부분에 금속 별 모양 휘장을 달았다.[35] 또한 장교에 준하는 장갑(흰 장갑)을 착용하고, 외출 시에는 전용 검대와 도대(버클 부분은 욱일 문양, 벨트 부분은 갈색 가죽, 상의 위에 착용)를 사용했다. 1938년 육군 복제 개정(쇼와 13년 제식) 이후에는 별과 벚꽃잎 문양의 휘장이 달린 숄더보드형 전용 견장이 추가되어 일반 하사관병과 차별화되었다. 이 견장은 1943년에 선장을 추가하는 개정을 거쳐 육사 해체 시까지 사용되었다.1943년에는 주로 항공 사관후보생용으로 연한 감청색 바탕에 별장, 벚꽃잎, 프로펠러, 주익을 문양으로 하는 항공 흉장이 제정되어 오른쪽 가슴에 착용했다. 이 흉장은 나중에 육군항공부대 관련 모든 장병에게 착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육사 예과생과 보병, 포병, 공병, 항공병 사관후보생은 총검(삼십년식 총검)을, 기병, 수송병 사관후보생은 군도(삼십이년식 군도)를 착용했다.[35] 예과생 및 보병 등 보병 본분 병과, 병종의 사관후보생도 휴일 외출 시에는 장화(승마용 장화) 또는 가죽 행전 착용이 허용되었다.

4. 2. 교가
陸軍士官学校校歌일본어는 1921년(다이쇼 10년)에 제정되었으며, 작사는 36기 寺西多美弥|테라니시 타미야일본어 , 작곡은 육군 도야마학교 군악대이다. 1923년에 가사가 대폭 개정되어 다시 제정되었다. 육군사관학교 본과와 육군예과사관학교에서 교가는 사실상 공통으로 사용되었지만, 육군항공사관학교는 별도의 陸軍航空士官学校校歌일본어(작사는 51기 久保田保男|쿠보타 야스오일본어, 작곡은 육군 도야마학교 군악대)가 제정되었다.이치가야 시대의 가사 중 "이치가야대", "도야마요요기" 등은 육군사관학교가 자마로 이전한 후에는 "사가미하라", "후지산 기슭"으로, 육군예과사관학교가 아사카로 이전한 후(「육군예과사관학교 교가」)에는 "진무의 대", "대무사시노" 등으로 일부 변경되어 불렸으며, 가사 순서도 조정되었다. 또한 나라 기지에 있는 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의 교가는 2절의 "이치가야대"를 "헤이죠대(平城台)"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가사와 곡을 계승하고 있다.
4. 3. 휴일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에서는 일요일이나 공휴일에 외출이 허용되었다. 외출 시간은 아침 식사 후부터 저녁 식사 전까지였으며, 1월 1일, 기원절, 메이지절, 야스쿠니 신사 례대제일은 저녁 점호 시간까지 연장되었다.[36] 기병 병과 희망 예과생이나 사관후보생은 휴일에 승마 외출(원승(遠乗り))이 허용되었다. 가족이 있는 사병 학생은 허가를 받아 1주일에 1회 정도 외박할 수 있었다.1938년 이후 휴일 외출 시 복장은 다음과 같았다.
예과생 및 보병 병과인 사관후보생도 휴일 외출 시에는 장화(승마 부츠) 착용이 허용되었다.
육군사관학교 부근에는 '일요일 하숙'이라 불리는 휴식 공간이 있었다. 이는 같은 고향 출신 장교 모임 등에서 민가나 상점 일부를 임대하거나 전용 건물을 건설한 것이었다. 1930년대 초 시가야대(市ヶ谷台) 부근에는 수십 곳이 있었다.
육군사관학교가 아이부대(相武台), 슈무대(修武台), 신무대(振武台)로 이전 또는 분리된 후에도, 시가야대(市ヶ谷台) 정도는 아니었지만 현지에 일요일 하숙이 설치되었다. 이전 후 시가야다이의 구 일요일 하숙은 장교 모임 장소나 숙박 장소로 일부 전용되었다.
4. 4. 백일제
일본 제국 육군사관학교 예과에서는 졸업식 예정일 100일 전에 각 학생의 병과(병종)와 배속 임지(부대)가 결정되었다. 이는 육군 장교로서의 인생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였기에, 예과 졸업 100일 전은 예과생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 날이었다. 이를 축하하고 이별을 나누기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치르던 파티가 바로 "백일제(百日祭)"였다. 본과(육사·항사)에서도 졸업 100일 전에 예과 때와 마찬가지로, 길었던 수련을 위로하고 석별의 정을 담아 축하하는 경우가 있었다.[37] 백일제는 육군사관학교의 공식 행사는 아니었으며 그 기원도 불분명하지만, 메이지 시대의 육군중앙유년학교에서 이어져 내려온 전통 행사였다. 비공식 행사였기 때문에 개최는 유연하게 이루어졌고(교내 학생 집회소나 식당, 혹은 교외의 요릿집, 일요일 하숙에서 행해진 예 등 자료에 따라 다양한 실시 형태가 확인 가능), 중대장이나 구대장도 육사 선배로서 학생들의 마음을 이해했기에 초대를 받으면 기꺼이 참석하는 사람도 있었고, 사적인 연회라는 성격상 어느 정도의 무례강이 허용되었다.[37] 일본군을 대표하는 군가 중 하나인 『보병의 본령』(歩兵の本領)은 1911년 육군 중앙 유년학교에서의 백일제를 노래한 것이 원형이다.4. 5. 견학 여행
전간기에는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전적지를 견학하는 만선(滿鮮) 전적지 견학 여행이 실시되었다. 기수에 따라서는 귀가길에 에타지마에 들러 하룻밤을 묵고 해군병학교 학생들과 교류를 가진 경우도 있었다.[38]4. 6. 졸업식
본과 졸업식에는 천황이 대원수로서 직접 참석하였다. 쇼와 천황의 경우, 관병식장에서 백마(시대에 따라 "후부키"・"시라유키"・"하츠유키")를 타고 사관후보생과 생도들의 정렬 및 분열 행진을 사열하고 관병하였다.[39] 또한 우등 졸업생의 강연을 듣고 졸업증서 수여식에도 참석하였다.
예과 졸업식에는 예전에는 시종무관이 참석했으나, 1934년 제48기 졸업식을 계기로 황족 중 궁가 당주(이른바 "궁전하")가 참석하게 되었다.
본과와 예과에서 수석 이하 우등 졸업생에게는 은사품(메이지 30년경부터는 은시계, 그 이전에는 다양한 물품)이 하사되었다.[39] "은사의 은시계"에는 "어사(御賜)"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육군사관학교의 마지막 졸업식은 본토 공습하의 대전 최말기인 1945년 7월 29일에 예과생을 대상으로 한 제60기 졸업식이었다(본과는 같은 해 6월 제58기 졸업식, 육군항공사관학교는 같은 해 3월 제58기 졸업식).
4. 7. 무창 용어
육군사관학교 및 관련 학교에서는 다양한 은어가 사용되었다[40]. 초기 일본 제국 육군 및 육군사관학교는 프랑스 육군과 독일 육군을 본받았기 때문에 프랑스어·독일어에서 유래한 용어가 종종 보인다.- "오레(俺)" - 1인칭[40]
- "키사마(貴様)" - 2인칭[40]
- "D코로" - 육군소년학교 출신자를 가리키는 경멸적인 표현[41]. 중학교 출신자가 사용했으며, "카데(カデ)=KD"의 D에서 유래[41].
- "P코로" - 중학교 출신자를 가리키는 경멸적인 표현[41]. 육군소년학교 출신자가 사용했으며, 독일어 플라트파트로네(Platpatrone, 공포탄)에서 유래[41]. 육군소년학교 출신자는 자신을 실탄(Scharfepatrone)으로, 중학교 출신자는 소리만 나는 공포로 비유[41].
- "애기" - 교내 미남자. 또한 남색 문화에서 상급생이나 구대장의 총애를 받는 사람[40].
- "하수구" - 후보생·학생 또는 사관학교를 가리키는 말. '사관(士官)'에 '하수구'를 붙인 것[40].
- "강당" - 교실. 육군사관학교에서는 방 크기에 관계없이 교실을 모두 강당이라 불렀고, 큰 규모는 대강당이라 칭함[40].
- "극락 언덕"·"지옥 언덕" - 이치가야대 정문 안의 언덕. 휴일 외출 시에는 기운차게 내려가고, 복귀 시에는 기운 없이 올라가서 붙여진 이름[40].
- "콘파" - 동기생·상하급생 간의 모임, 친목회. 음식과 여흥을 즐김[40].
5. 관련자 명단 (대한민국)
2004년에 제정된 대한민국의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10호는 ‘일본 제국주의 군대의 소위(少尉) 이상의 장교로서 침략 전쟁에 적극 협력한 행위’를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하였다(
한국군 창설 초기에는 구 일본 육군 장교들이 다수 포함되었으며, 초대부터 제10대까지의 한국 육군 참모총장은 일본 육사 또는 만주국군관학교 출신이었다. 구 만주국의 중앙육군훈련처·만주국군 군관학교에서 일본 육사로 유학한 성적 우수자 중에는 정일권, 박정희 등과 같이 한국군과 정·재계에서 활동한 조선인들이 많았다.[32]
6. 유적
방위성 이치가야 지역에는 1937년 6월, 육군사관학교(육사)가 가나가와현 자마시로 이전하기 직전에 건설된 육군사관학교 본부 건물(육사 이전 후에는 육군예비사관학교 본부)이 일부 남아있다.[4] 이 건물은 이치가야 기념관으로 일반에 공개(이치가야다이 투어)되고 있으며, 내부에는 육사 시대의 대강당, 편전(便殿)의 방, 교장실(예비사관학교가 사이타마현 아사카시로 이전 후에는 육군성이 입주하여 육군대신실이 됨)이 보존되어 있다.[4]
캠프 자마에는 육사(소부다이(相武台)) 시대의 대강당 등이 현재까지 남아 주일 미군이 사용하고 있다. 1978년(쇼와 53년)에는 자마 시대 육사에 있던 황족 숙소(동구니궁 아키츠네왕과 가요궁 호우스왕이 사용[5])가 아사카 주둔지로 이전되어, 예비사관학교 자료를 전시하는 신부다이 기념관(신부다이 기념관)으로 운영되고 있다.[6] 이 기념관은 인접한 육상자위대 홍보센터 방문객들에게 공개된다.[7]
이루마 기지에는 육군항공사관학교(슈부다이(修武台)) 시대의 학교 본부가 슈부다이 기념관으로 있었으나, 노후화로 2005년(헤이세이 17년) 폐관 및 해체되었다. 2012년(헤이세이 24년)에는 항공사관학교 본부 시대 외관을 재현한 슈부다이 기념관(슈부다이 교육강당·항공역사자료관 슈부다이 기념관)이 개관하여, 육군 항공부대 자료를 중심으로 한 육군 공군 장병용 교육시설이 되었다.[8]
육상자위대와 항공자위대가 관리하는 이 유적과 기념관들은 육군사관학교, 예비사관학교, 항공사관학교 관련 자료를 보관 및 전시하며, 일본 제국 육군 사관학교의 역사를 전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陸軍士官学校
[2]
서적
陸軍士官学校
[3]
서적
陸軍士官学校
[4]
웹사이트
市ヶ谷記念館
https://www.mod.go.j[...]
[5]
논문
旧陸軍施設における兵舎・皇族舎・皇族の住居に関する研究
https://www.arch.shi[...]
芝浦工業大学
2022-11-23
[6]
웹사이트
振武臺記念館
http://www.mod.go.jp[...]
[7]
웹사이트
振武薹記念館
https://www.mod.go.j[...]
陸上自衛隊広報センター
2022-11-25
[8]
웹사이트
修武台記念館
http://www.mod.go.jp[...]
[9]
서적
陸軍士官学校
[10]
서적
陸軍士官学校
[11]
서적
陸軍士官学校
[12]
서적
陸軍士官学校
[13]
간행물
高等官官等俸給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4]
간행물
陸軍海軍武官ノ官等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5]
간행물
文武高等官々職等級表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6]
간행물
御署名原本・明治二十四年・勅令第二百十五号・文武高等官官職等級表
国立公文書館
[17]
간행물
高等官々等俸給令
国立公文書館
[18]
논문
嘉村礒多論:私小説論(3)
鳥取女子短期大学
[19]
서적
兵営生活
https://dl.ndl.go.jp[...]
金港堂
[20]
웹사이트
ゆかりの地マップ-幕末・維新-表-1021-OL
https://www.osakacas[...]
大阪城天守閣
[21]
웹사이트
明治初年に大坂城址に設置された近代的諸施設について
https://www.jstage.j[...]
[22]
간행물
法令全書
[23]
서적
日本陸海軍総合事典
東京大学出版会
[24]
뉴스
士官学校は市ヶ谷から座間へ移転
中外商業新聞
1938-10-01
[25]
서적
学歴・階級・軍隊-高学歴兵士たちの憂鬱な日常
中公新書
[26]
간행물
御署名原本・大正六年・勅令第九十七号・陸軍補充令中改正
国立公文書館
[27]
간행물
御署名原本・大正六年・勅令第九十五号・陸軍武官官等表中改正
国立公文書館
[28]
간행물
陸軍士官学校准尉候補者教育条例
防衛省防衛研究所
[29]
간행물
陸軍省大日記・大日記乙輯・大正6年「士官学校へ行幸奏請の件」
防衛省防衛研究所
[30]
뉴스
読売新聞
1938-10-07
[31]
서적
陸軍士官学校
[3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BURMA to JAPAN with Azad Hind: A War Memoir (1941–1945)
http://www.bharat-ra[...]
Bharat-Rakshak
2010-05-23
[34]
웹사이트
4.INA東京士官学校留学生名簿 (1992年8月28日調査、INA東京留学生の住所氏名左記著書より)Netaji Centre,Kuala Lumpur:NETAJI SUBHAS CHANDORA BOSE
http://www.yorozubp.[...]
萬晩報
2010-05-23
[35]
간행물
陸軍士官学校派遣中の士官候補生陸軍経理学校派遣中の経理部士官候補生.陸軍士官学校予科生徒.陸軍経理学校予科生徒及陸軍幼年学校生徒の佩剣(刀)帯革制式の件
[36]
서적
陸軍士官学校
[37]
서적
陸軍士官学校
[38]
서적
陸軍士官学校
[39]
논문
[40]
서적
陸軍士官学校
[41]
논문
[42]
간행물
官報
1920-08-11
[43]
간행물
官報
1922-08-16
[44]
간행물
官報
1926-03-03
[45]
간행물
官報
1934-03-06
[46]
웹인용
사관 양성을 일본국 정부에 위탁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09-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